반응형

삼국시대 2

[공기업 한국사] 고대사 ~ 근현대사 시대별 요점 정리

○ 고조선 - 단군 : 제사장(tengri) + 왕검 : 정치적 군장 / 단군왕검은 제정일치 사회의 우두머리를 뜻한다. ○ 부여 - 우제점법 :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점치는 부여의 풍습 순장, 1책 12법(12배 배상), 형사취수제, 5부족 연맹체, 사출도(지방자치소국), 영고(12월) ○ 동예 - 무천(10월), 책화(責禍부족간의 영업침입에 따른 배상금) ○ 삼한 - 제정분리, 철제 농기구 사용, 벼농사,수릿날(5월), 계급제 사회, 소도(제사장인 천군이 산천에 제사를 지냄,군장의 세력 미포함), 두레, 귀틀집(통나무 井자 모양집) - 옥저 : 함흥 평야(토지가 비옥함),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묘 ○ 고구려 - 5부족 연맹체, 제가회의, 부경(桴마룻대부, 京서울경 - 지배층이 사용하던 창고, 약탈..

[충북 보은] 신라의 꿈, 난공불락의 삼년산성 (1부)

- 기록 속의 삼년산성 충북 보은에 위치한 삼년산성은 5세기 후반(470년) 신라가 쌓은 석축식 산성으로 『삼국사기』에 따르면 이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에 삼년산성으로 명명했다고 전해진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향산성으로 기억되어 있고, 다른 역사서에는 산의 이름을 딴 오정산성으로 전해진다. 삼년산성은 삼국사기에 유일하게 축성시기와 과정이 기록된 산성이다. 이를 통해 삼년산성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5세기 초까지만해도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발전이 늦었다. 광개토대왕 시기 고구려 원군의 도움을 받은 이래로 신라 영토에 고구려군이 주둔하고, 고구려 장수가 신라의 벼슬을 받을 정도로 종속된 관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신라는 김씨 세습 안정화 등을 통해 자주국가로 발돋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