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교 6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10부: 이슬람

이슬람교 개관 * 이슬람교라는 용어가 정확한 용어이며 회교, 마흐멧교, 무함마드교는 올바른 용어가 아님 ○ 철저한 유일신앙 / 헌신 : 유대교와 그리스도교도 유일신 신앙이지만 이슬람은 '순수한' 유일신 신앙을 주장한다. 이슬람(Islam)은 절대신에 대한 완전한 헌신을 뜻하는 단어로, 무슬림(Muslim)은 완전히 헌신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어원적 의미는 W.C. 스미스가 말하는 '신앙'의 의미와 일치한다. * 알라 : al(the) + ilah(god) - 이슬람의 시초와 유일한 계시는 동일한 시점이 아니다. (이슬람교 이전의 계시를 인정) 하지만 인간이 그 계시를 온전히 보전하지 못했다.(오염, 훼손) 무함마드가 그 계시를 완성했다. * 그리스도교 비판, 예수는 예언자에 불과, 하느님의 아들..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9부: 불교

○ 불교의 역사적 전개 불교는 기원전 6세기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가르침으로부터 시작했다. 이 때의 불교를 근본불교, 원시불교라고 한다. 이후 가르침을 따르는 이들의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이것이 승가, 승단, 교단으로 발전한다. 석가모니 사후 100년이 지나자 분열이 일어났다. 운영방식, 출가유무와 공동체에 대한 규정 등의 이견이 있었다. ● 인도 불교 : 인도의 불교는 쇠퇴하고 결국 소멸되었다. 정통 바라문교에 흡수(후기 힌두교)되어 정통 바라문교가 대중 종교화 되는데 영향을 끼쳤다. (1)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가르침 (2) 교단의 성립 - 화합승和合僧 - 유행걸식, 무소유 → 정착 (3) 교단의 분열 - 제 2차 결집 : 불멸 후 100년경. 10事. 상좌부와 대중부 (4) 부파部派 불교 (5) 대승불교..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7부: 힌두교

힌두교 요약 1. 아리안족 주도 문화 2. BC 6세기 대중지향 종교 운동 3. 정통바라문교의 재정비 -> 대중 신앙 - 베다 : 본집 + 브라흐마다 + 아칸야바 + 우파니샤드 (앞의 2가지는 행위, 뒤의 두가지는 지혜) * 본집 안에 리그베다가 있다. 리그베다는 신들에게 바치는 찬미의 노래다. 브라흐마다의 변화 : 제사장 위주, 인과율(업보), 행위주의(제사)의 폐단 / 본집시대의 변질이다. 우파니샤드 : 베단타. 일원론, 고통의 전언, 범아일여 새로운 종교운동 : 출가 수행자들, 교단 공동체, 우파니샤드 -> 힌두교의 탄생(이전에는 브라만 중심의 정통 바라문교) * 범아일여 : 물 한방울이 떨어지면 신과 하나가 된다. 힌두교는 종교의 백과사전이자 보물창고. 다양한 유형이 다 들어있다. 힌두교의 특징 ..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6부: 그리스도교(기독교)

문제제기 ○ 그리스도교의 과거(~중세, 유럽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와 현재 - 지배적인 영향력 → 침체와 도전(전 지구적 현상, 개독이라는 비판) ○ 그리스도교 본래의 가르침에 대한 문제여부 - 종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상의 문제 cf) W.C. 스미스의 종교 이해 ○ 그리스도교 본래의 가르침에 대한 정확한 이해 필요 -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전개 과정 재검토 - 특히 '예수의 종교체험과 가르침' 재조명 창시자가 만든 내용이 후대에 오면서 변형, 재해석, 왜곡되기도 한다. 이것은 모든 종교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시대의 요구에 반응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변화된 것이 모두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시각에서 본래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것이 목적. cf) 현대 무신론, 종교 부정(현실적 폐단, 문제점) 예..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3부: 종교부정, 무관심 - 현대 무신론

리차드 도킨스, (1) 신의 존재 부정 (2) 종교의 의미, 기능 부정 - 종교 없이도 인간은 도덕적일 수 있다. (칸트 등 합리주의자들의 주장과 유사함) - 종교는 순기능보다 폐단이 더 많다. (3) 무신론자로서의 자긍심 - 무신론자들이 있더라도 그간 종교는 불가침 영역처럼 여겨졌다. 감히 신의 존재를 부정하지 못했다. (터부시) * 그러나 도킨스는 그런 무신론자들에게 "그대가 맞다"고 이야기해준 것이다. 현대 무신론 (1) 증명과 입증의 문제 - 성스러움은 비합리다. 유신론자들은 종교를 비합리적인 것이라고 본다. 비합리란 합리와 불합리를 논할 수 있는 경지를 넘어선, 가늠할 수 없는 것을 상태를 뜻한다. 반면 무신론자들은 종교가 불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 언어, 이성, 합리, 개념, 현세, 경..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1부: 종교의 의미(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종교를 통화 문화의 이해 * 종교는 문화의 가장 심층부(근저)에 있다. (1) '다름'을 이해 : 종교는 각 문화의 심층적인 면을 보여준다. 종교를 통해 각 문화의 다름ㅇ르 이해할 수 있다. (2) 문화로서의 종교를 이해 : 왜곡된 종교이해가 아닌 올바른 종교이해가 필요하다. 현대의 종교상황을 알지 못하면 '종교문맹'이 된다. 왜곡된 종교이해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인 종교분쟁을 낳는다. 1. 종교를 통한 문화 이해 왜 문화를 이해해야하는가? → 20세기 이후 문화 폭발의 시대에 살고 있다. ○ 배경 - 정치 이데올로기의 쇠퇴 : 양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공산주의마저 붕괴했다. 과거 이데올로기는 전체, 거대담론을 중시하며 개인의 종속화, 희생을 강요했다. 전쟁의 참혹함으로 말미암아 이데올로기는 그 한계를 보여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