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박현도 교수 3

[한국-아랍소사이어티] 아랍 알기 특강 1~3편(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한국-아랍소사이어티의 아랍 알기 특강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포스팅 내용은 방송 순서에 따르되, 일부는 이해를 돕기 위해 재편집 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 '아랍'이라는 명칭의 등장 아랍: 신아시리아 제국의 문헌에 최초로 등장. '유목민', '국경 밖에 사는 외국인'이라는 뜻으로 사용됨. 훗날 그리스인들이 그 표현을 보고 사용하면서 아랍이라는 단어가 널리 쓰임 ○ 메소포타미아 문명(기원전 4000년 ~ 600년)과 아랍인 메소포타미아 문명 시절에는 지금처럼 그 지역이 아랍인의 땅이 아니었다. 여러 민족이 섞여 살고 있었고, 기원 후 600여년 경 아랍인들이 압도적인 이슬람 문명을 앞세우고 해당 지역을 정복하게 된다. 이후 이집트부터 고대 메..

[삼프로TV] 아프가니스탄, 위구르 그리고 인도(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박현도 교수)

* 삼프로TV 백브리핑 2021년 9월 15일 방송 Q. 현재 아프가니스탄 상황은 어떠한가? A. 판지시르를 중심으로 저항이 계속되고 있다. 판지시르는 '5개의 사자'라는 뜻이다. 과거 이곳에서 발생한 큰 홍수를 막은 5명의 위인에서 따온 명칭이다. 지형이 험난하여 과거 소련도 이곳을 정복하지 못했고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에 입성하기 전 탈레반도 이곳을 장악하지는 못한 상태였다. 카불에서 북동쪽으로 70km 정도 떨어져있다. 타지키스탄군이 저항군에 무기를 지원했다. 저항군 지도자인 아흐마드 마수드(수니파 이슬람, 타지크족)는 아버지였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2001년에 알카에다에 의해 암살 당함)에 이어 저항군(NRF, 국민저항전선) 사령관을 역임하고 있다.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암살 당한 이후 2일 뒤에 9..

[삼프로TV] 아프가니스탄 사태, 원인부터 전망까지(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 박현도 교수)

아프가니스탄 사태, 원인부터 전망까지(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 박현도 교수) * 본문 하단에 요약 있음 Q. 중동 문제는 우리가 왜 알아야 하는가? A. 그보다도 최근 사태에 관심이 많다는 것 자체가 의외였다. 언론에서는 비행기에서 추락한 난민의 모습이 충격적이었다고 한다. 그 이후 언론이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것 같다. 대선 정국임에도 불구하고 보도가 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과거 솔레이만(前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이 미군에 의해 폭사했을 때 이후로 가장 큰 관심인 것 같다. 경제적으로는 미국의 행보가 유가, 달러 환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심을 갖게 되는 점도 있다. Q. 탈레반은 어떤 조직인가? A. 탈레반의 뜻은 '신학생'이라는 뜻이다. 어렸을 때부터 이슬람을 배우는 사람을 뜻한다. 현..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