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스라엘 7

[종교] 종교와 세계문화 5부: 유대교

유대교 - 유대인들의 역사와 역사관을 유대교에 기반하여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유대인들은 그들의 역사에 우연이나 무의미한 것은 없다고 말한다. 방향성과 분명한 목표점을 지향한다. - 다양한 경험, 여러가지 사건, 시련 모두 의미를 가진다. (섭리, 의미 없는 것은 없다.) - 모든 사건은 궁극적으로 유대민족을 한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과정이다. *신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 (* 계시, 신의 뜻을 인간에게 보여주신 것, 하느님이 개입하신 것) - 유대교는 곧 유대인의 역사이며 유대인의 역사는 하느님과 함께하는 삶 그 자체이다. (선민의식) (c.f) 종교의 본래 의미 : 제도, 형식, 조직이 형성되기 이전의 삶으로서의 종교, 초월적 직리에 따르는 삶, 궁극적인 질문 민족종교: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종..

[벌거벗은 세계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3월 22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예루살렘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유대인 입장에서는 유대교 성전이 있었던 곳이며, 기독교인에서는 구원자인 예수님의 무덤(성묘 교회, Basilica of the Holy Sepulchre)이 있던 곳이다. 무슬림에게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하늘로 승천하여 신(알라)를 만난 이야기가 전승되는 신성한 장소다. 세 종교의 성지이지만 지금의 갈등은 종교 분쟁이 아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이하 이-팔) 분쟁은 영토분쟁이라 보는 것이 맞다. 유대인의 역사 유대인이 스스로의 조상이라 생각하는 아브라함..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7화 (예루살렘, 트럼프 평화협정)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트럼프의 대사관 이전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은 자신의 수도를 예루살렘으로 선언했다. 다만 일종의 행정 수도처럼 몇몇 정부기관을 텔아비브에 두었다.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아랍 22개국은 예수살렘이 이스라엘의 공식 수도가 되도록 용납하지 않았다. 이들 아랍국가들과 수교한 제3국들은 모두 텔아비브에 주 이스라엘 대사관을 두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가 갑자기 주 이스라엘 미국 대사관 이전을 선포했다. 이는 이-팔 문제의 중재자 역할을 포기하고 이스라엘 편을 들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 트..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6화 (예루살렘의 역사)

○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6화: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 싸움이 끊이지 않는 평화의 도시 예루살렘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예루살렘, 이스라엘, 그리고 팔레스타인 이-팔 분쟁은 하나의 땅을 두고 일어난 분쟁이다. - 이스라엘의 입장 : 신으로부터 내려받은 땅을 한 톨도 양보 없이 지켜야만 한다. - 팔레스타인의 입장 : 1948년 5월 14일, 나라와 함께 빼앗긴 땅을 언젠가는 수복해야만 한다. 70여 년 동안 두 입장이 평행선을 그리고 있었고, 극단으로 치닫는 갈등을 막기 위해 1993~19..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5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5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화해할 수 없는 이유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3월 26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포스팅 내용은 방송에 따르되, 일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를 재편집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 건국 이후의 이스라엘 2천 년 동안 쌓여왔던 유대인의 회한이 건국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사람들 입장에서는 '갑자기 밀려 들어온' 유대인들을 인정할 수 없었다. 이스라엘 건국 이전, 1930년대부터 유대인들이 지금의 이스라엘 땅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때는 팔레스타인 거주자들로부터 땅을 구입해서 들어온 것이고 규모도 크지 않았다. 위치도 예루살렘이 아닌 해안가와 갈릴리 호수 주변에 국한되었다. 1..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4화 (이스라엘과 유대인)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3월 20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해당 영상의 명칭이 최초 업로드 후 아래와 같이 수정되었습니다.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땅을 노리는 진짜 이유 → 러시아에 단호한 미국이 이스라엘에는 관대한 이유 → 우크라이나 침공에 분노하는 서방, 팔레스타인 침공에는 침묵하는 이유 * 포스팅 내용은 방송에 따르되, 일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를 재편집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지리 팔레스타인은 아직도 국가로 공인되진 않았다. 오스만 투르크 시절부터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살았던 것은 사실이다. 이스라엘은 경상도 정도의 면적을 갖고 있다. 중앙에 강낭콩을 쪼갠 것 같은 영역을 웨스트 뱅크(요르단 강 서안)이고 반대편 지중해에 가..

카테고리 없음 2022.03.23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1부(어디까지가 중동인가)

중동의 범위 - 어디까지가 중동인가 중동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정의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중동이라는 말 자체가 어폐가 있다. 우리 입장에서 동쪽이 아니다. 정확히는 서남 아시아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 상대적인 개념인데도 이 표현을 백년 넘게 쓰고 있다는 것 자체가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행사해온 사람들의 시선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말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중동은 아주 좁게 보면 아라비아 반도와 레반트 지방(이라크, 요르단, 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 이집트를 포함하여 규정하기도 하고, 여기서 왼쪽으로 북아프리카 5개국과 북쪽 터키, 오른쪽 이란을 포함하여 중동을 정의하기도 한다. (인남식 교수의 관점은 2번째 범위) 더 광의로 정하다면 중앙아시아, 아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