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44306
집값폭락 적중 서울대 교수 “내년에 2018년 가격까지 폭락, 2026~2027년 급등 가능성도”
집값 폭락 예측한 김경민 서울대교수 인터뷰-상 금리안정, 거래량 상승 바닥 확인후 구매 경기침체로 공급 급감, 소득회복되면 폭등 가능성 외환위기 급반등은 금리 급락에 경기회복 덕분 3기
n.news.naver.com
집값 예측 모형
- 공간 팩터 : 주택 공급량, 공실률, 주택 수요자 소득
- 금융 팩터 : 기준 금리, 투자 수익율
- 2010년대 서울의 거래량이 급증한 것이 2015 ~ 2016년이었다. 거래량이 터지면서 가격이 상승했다.
- 2026년 ~ 2027년에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PF금리가 12% 수준인데, 이렇게 높은 금리로 인해서 주택공급이 2~3년 지연되면 공급 부족에 의한 폭등이 되풀이 될 수 있다.
- 3기 신도시는 주변 지역의 집값을 하락시키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서울을 집값을 잡을 수는 없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투자 공부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양 물량 7만개까지는 문제없다. (0) | 2023.07.30 |
---|---|
부동산 신탁회사란?(악성 임대) (0) | 2023.06.10 |
베이밸리 메가시티 (0) | 2023.02.17 |
지난 기사 다시보기 / 영끌 하지 말고 신도시 청약하라 (0) | 2023.02.12 |
[임장 기록] 홍대 / 서교동 / 합정동 / 망원동 (0) | 2021.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