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5

[메모] 인도네시아(인니)와의 교류 확대

◈ 인도네시아 국가정보 수도 : 자카르타 인구 : 2억 7천만명 종교 : 이슬람(87.2%), 기독교(6.9%) 등 교민 수 : 22,774명(대한민국 외교부, 2019) 기타 : - 2021년 3분기 누적 기준,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6위 투자국 - 전기차 산업은 인도네시아 중점 육성 산업 중 하나로 LG엔솔과 현대자동차의 합작 투자로 카라왕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 공장을 착공(2021) ◈인도네시아 관련 뉴스 1. LG에너지솔루션 인도네시아 투자 - 인도네시아는 니켈 매장량 및 채굴량 세계 1위 - LG엔솔은 인니에 11조원을 투자하여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할 계획(2022.04.18) 해당 사업에는 광물 확보 및 정제부터 배터리셀 생산까지 전 과정이 포함 - 이를 위해 LG컨소시엄과 인도네시아 ..

[신문스크랩] 2022년 4월~5월 주요 경제뉴스

○ 삼성SDI가 배터리 3사 중 가장 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스텔란티스와의 합작 공장도 차질없이 준비되고 있다. 삼성SDI는 고부가 배터리 판매를 통해 이익을 개선했다. ○ SK그룹이 그룹랭킹 2위에 오르면서 12년만에 빅3 질서에 변동을 가져왔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역대 1분기 매출로는 최고인 12조를 기록했고, SK그룹은 예스파워테크닉스를 인수했다. 해당 업체는 전기차 핵심 부품인 실리콘카바이드 전력반도체를 생산한다. ○ 현대차의 미국 UAM 법인 슈퍼널은 영국에 수직이착륙장(버티포트) 에어원을 열었다. 세계 최초로 세워진 수직 이착륙장이다. 슈퍼널은 향후 5년간 한국, 미국, 독일, 호주 등 세계 주요 도시에 200여개 에어원을 건설할 계획이다. ○ 코람코와 SK리츠 등 리츠주가 52주 최고가를..

2022년 4월 4주차 투자 기록

1. 개인적으로 / 복기 - 조선주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전체 손익이 개선되고 있다. 신기하게 블로그 조선주 관련 글의 조회수가 높아지면 며칠 뒤에 조선 관련 종목의 주가가 오른다. 검색량을 기반으로 주가를 전망할 수 있을까? - 현대글로비스와 현대오토에버, 삼성SDI, 효성티앤씨는 조정이 오면 더 추매하고 싶지만 좀처럼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다. 현대자동차 전기차 판매가 개선되고, 지배구조상으로도 수혜를 받을 것 같은 종목이기 때문이다. - 한동안 조선주를 제외하고는 수익이 너무 좋지 않아 단타로 3월초에 일부 매수한 종목을 4월에 팔았다. 단타 치고는 나쁘지 않은 용돈벌이였으나 매수 금액자체가 적어 큰 재미는 보지 못했다. * 총수익률 +14.8% (매도기간 4/1~4/19) * 현대중공업 +51.8%..

투자 공부 2022.04.22

[신문 스크랩] 2021년 3분기(7월 ~ 9월) 경제 관련 기사 모음

1. 한화, 그린수호 운동 및 저장 시스템까지구축(매일경제 7/1) - 한화솔루션 첨단소재부문은 최근 차량용 수소연료탱크의 유럽 인증을 받음, 드론용 수소탱크의 국내인증도 마침 - 수소는 700바(bar, 1바는 기압) 이상 고압으로 압축해야 운송 효율이 높아지므로 일반적인 연료탱크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 한화솔루션은 NASA 사내벤처로 시작한 수소고압탱크 스타트업 시마론을 21년 초 인수했다. - 현대글로비스는 휴게소에 차량 연료용 수소충천망을 구축 중이며 한화는 여기에 수소를 2년간 48t 가량 공급할 예정임 2. 굿바이 베이조스, 후계자는 '클라우드 황제'(중앙 7/6) - 새 CEO는 '베이조스 그림자' 재시, 클라우드 이끌며 영업이익 절반 창출. 차기 먹거리는 디지털 토큰 예상 - '베이조스..

[신문 스크랩] 2021년 1~2분기(1월 ~ 6월) 주요 경제뉴스

1. 코스닥서 외인 사고 기관 팔고 2차전지, 콘텐츠 주는 모두 '찜'(매일경제 4/26) - 기관 순매수 톱10 (1) 에코프로비엠 (2) 엘앤에프 (3) 피에스케이 : 반도체 제조용 기계제조업 (4) 솔브레인 (5) 녹십자랩셀 (6) 동화기업 (7) 천보 (8) 테크윙 : 반도체 장비(핸들러) 제조업 (9) 스튜디오 드래곤 (10) 오스코텍 2. 벌크선 운임 3개월 만에 52% 폭등, 10년래 최고(한국경제 4/26) - 철광석 등 원자재 수요 증가, 항공운임도 kg당 9달러 돌파 - 중국 경기가 되살아나면서 철광석 수요가 급증한 게 벌크선 운임 상승의 주요 요인 > 통상 벌크선은 화주인 기업들이 대부분 5년 이상 장기계약을 맺고 전용선처럼 운영함. 계약기간이 6개월 ~ 1년 가량(스폿 계약)인 컨테..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