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프가니스탄 8

[삼프로TV] 수니파, 시아파 무려 1400년간 싸우는 이유는? [중세특집#3] (MBC 박정욱 PD)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신과 함께 2020년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수니(순니)파와 시아파의 갈등 시작은 정치적 싸움이었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후계자(칼리파)를 지명하지 않고, 선출 방식도 정하지 않은 상태로 사망했다. 당시에는 종교와 정치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칼리파 역시 동일한 성격이라고 볼 수 있다. 서양 카톨릭과 이슬람을 비교하자면 후계자인 칼리파는 교황이고 술탄은 황제에 비교할 수 있다. (일본 작가 시오노 나나미의 표현) 물론 이 비교가 딱 맞아 떨어지는 표현은 아니다. 무함마드의 혈통은 쿠라이시(Qura..

[삼프로TV] 지옥이 된 신장위구르 1~2부(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2022년 1월 3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이란 소식 이란의 새해는 춘분(2022년 3월 21일)이다. 이란은 새해가 되면 가구를 모두 바꾼다.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는 의식 같은 것이다. 백색가전도 바꾸고 쇼핑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기다. 요즘은 경제상황이 좋지 않아 분위기가 예전만 하지 못하다. 이란 경제제재가 계속 진행되면서 우리나라를 바라보는 이란의 시선도 곱지 않다. 오바마 정부가 제재를 시작한 이래로 우리나라는 이란산 석유 수입을 순차적으로 줄여야 했고 6개월마다 미국 측이 이를 확인했다. 지금은 더 이상 이..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3부 (미국의 딜레마)

미국의 대중동 정책의 변화 중동의 정세를 좌지우지하는 나라는 역내 국가보다는 미국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최근 미국이 보여주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대응을 포함한 대외정책의 배경에는 과거 미국의 중동 개입에 대한 여파가 있다. 미국이 중동에 대해 갖고 있던 이권은 크게 3가지였다. 석유, 냉전 시기의 친미국가 확보, 이스라엘 안보가 그것이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미국이 중동에 공을 들인 이유가 이것이다. 그런데 셰일가스 혁명으로 미국 스스로 산유국이 되어버렸고, 냉전은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제는 이스라엘 안보만 지키면 되기 때문에 무리할 필요없이 중동에서 철군을 결정했다. 그 변곡점에는 9.11 테러가 있었다. 미국은 단 한 번도 현대에 들어와서 본토에 전쟁을 한 적이 없었다. 그동안은 어디서 누..

[알파고] 아프간 사태로 보는 이슬람 문화 정리! with 알파고 | 중동,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지식Play)

* 김지윤의 지식Play 9월 7일 방송(8월 30일 미군 철수완료, 8월 31일 탈레반 자유의 날 선포) (알파고) '아프가니스탄 여행지' 혹은 '아프가니스탄 관광지'라고 검색하면 14세기부터 15세기 무렵 술탄국들이 만들었던 대학교와 아름다운 유적들을 볼 수 있다. 이것들만 보면 우리가 당시 이 지역이 부유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갑자기 아프가니스탄의 운명이 역전된 것은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부흥과 관련있다. 아프가니스탄 서쪽의 지역을 오스만 제국이 통일했고 그곳의 실크로드와 스파이스 로드(향신료 무역로)를 통제했다. 이로 인해 16세기 이후 아프가니스탄 지역 경제는 쇠퇴하게 되고 술탄국들은 약탈 경제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은 다민족 국가다. 한국이나 아일랜드처럼 대륙의 끝..

[삼프로TV] 아프가니스탄, 위구르 그리고 인도(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박현도 교수)

* 삼프로TV 백브리핑 2021년 9월 15일 방송 Q. 현재 아프가니스탄 상황은 어떠한가? A. 판지시르를 중심으로 저항이 계속되고 있다. 판지시르는 '5개의 사자'라는 뜻이다. 과거 이곳에서 발생한 큰 홍수를 막은 5명의 위인에서 따온 명칭이다. 지형이 험난하여 과거 소련도 이곳을 정복하지 못했고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에 입성하기 전 탈레반도 이곳을 장악하지는 못한 상태였다. 카불에서 북동쪽으로 70km 정도 떨어져있다. 타지키스탄군이 저항군에 무기를 지원했다. 저항군 지도자인 아흐마드 마수드(수니파 이슬람, 타지크족)는 아버지였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2001년에 알카에다에 의해 암살 당함)에 이어 저항군(NRF, 국민저항전선) 사령관을 역임하고 있다.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암살 당한 이후 2일 뒤에 9..

[알파고] 중동 기자에게 듣는 탈레반의 역사와 실체(터키 알파고, 매불쇼)

아프가니스탄은 19세기 왕국이었다. 당시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차례로 점령하면서 남하하게 되고, 아프가니스탄을 넘으면 바로 인도였다. 때문에 영국은 위기감을 느끼게 되고 아프가니스탄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와 힘겨루기(The Great Game)를 하게 된다. (역자주) 아프가니스탄은 1823년부터 1926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국(아프가니스탄 토후국, Emirate of Afghanistan) 혹은 비라크자이 왕조(건국자가 비라크자이族)로 불렸으며, 1926년부터 1973년까지는 아프가니스탄 왕국(Kingdom of Afghanistan)으로 불렸다. 1800년대 중반부터 영국과 3차례 전쟁을 치렀으며 1879년 간다마크 조약을 거쳐 영국의 보호국(외교권 박탈)이 되었다. 현재의 국경선인 듀런드 ..

[지식 PLAY] 아프간 미군 철수와 탈레반의 장악 총정리! 이보다 썩은 나라는 없다?!

아프가니스탄 내 미군 철수는 트럼프 대통령 때 결정되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0년 2월, 탈레반 측과 도하 합의를 맺었다. 미군과 동맹군에 대한 탈레반의 공격 중단, 테러리스트와의 관계 단절, 그리고 미군의 단계적 철수를 골자로 한 합의이며 기존 계획대로라면 2021년 5월 1일까지 철수를 마치기로 했다. 그러나 탈레반 측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행정부는 과감하게 철수를 강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02년 1월, 상원의원이던 시절 아프가니스탄 카불을 방문한 적이 있다. 당시 바이든 의원은 부시 대통령에게 아프가니스탄에 민주주의 국가를 세워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전쟁 이후의 nation buliding은 미국의 책임이라는 것이 그의 의견이었다. 그러나 탈레반 붕괴가 예상..

[삼프로TV] 아프가니스탄 사태, 원인부터 전망까지(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 박현도 교수)

아프가니스탄 사태, 원인부터 전망까지(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 박현도 교수) * 본문 하단에 요약 있음 Q. 중동 문제는 우리가 왜 알아야 하는가? A. 그보다도 최근 사태에 관심이 많다는 것 자체가 의외였다. 언론에서는 비행기에서 추락한 난민의 모습이 충격적이었다고 한다. 그 이후 언론이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것 같다. 대선 정국임에도 불구하고 보도가 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과거 솔레이만(前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이 미군에 의해 폭사했을 때 이후로 가장 큰 관심인 것 같다. 경제적으로는 미국의 행보가 유가, 달러 환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관심을 갖게 되는 점도 있다. Q. 탈레반은 어떤 조직인가? A. 탈레반의 뜻은 '신학생'이라는 뜻이다. 어렸을 때부터 이슬람을 배우는 사람을 뜻한다. 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