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공부 112

베이밸리 메가시티

- 성환종축장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1915년 성환목장으로 시작해 10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방역상의 문제와 천안 도시 팽창의 가로막는 요인이 되어 지속적으로 이전 논의가 있어 왔다. 2017년 이낙연 당시 전남지사가 전남 함평군으로 완전 이전하는 것에 동의했다. 성환종축장은 여의도 면적의 1.5배에 해당하며 추후 개발계획은 아직 미정이다. 베이밸리 메가시티 순환철도 노선(안)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천안과 아산은 충청 아이덴티티에서 벗어나 발전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과거엔 영남과 호남에서 수도권으로 사람이 몰렸지만 최근엔 올라가는 도중에 이들 지역에 정착하는 이들이 많다." 베이밸리 메가시티 5개 지자체 인구는 지난해 기준 265만 명입니다.

국내 폐기물 업체 현황

- 국내 폐기물 업체 점유율은 TSK 코퍼레이션, EMC홀딩스, 보림씨에스, 동양에코 순(4개 업체를 합치면 약 50%) - 정부 규제로 인하여 기존 소각 위주의 업체에서 매립장 확대 등으로 다변화 되는 중 - 허가 산업인데다 혐오 시설로 분류되어 신규 시설을 확장하기가 쉽지 않음. 따라서 기존 업체들의 과점화 현상이 발생함 - SK에코플랜트, 태영그룹, IS동서 등이 현재 폐기물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자 함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EMC홀딩스를 인수하였고 IS동서는 인선이앤티와 코엔텍을 인수함 그외 참고할만한 기업 : KG ETS 참고) * 중국 폐기물 업체 - 거린메이 : 폐배터리 처리 및 산화코발트, 전구체 생산기업

SK그룹 수소산업 / 핵심사업 / 첨단소재사업

SK그룹은 2021년 3월, 그룹의 4대 핵심사업을 발표했다.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 SK그룹을 포함하여 SKT, 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이 RE100 가입을 신청했다. * RE100 : 2050년까지 사용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조달하겠다는 자발적 선언 - SK그룹은 세계 최대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 등, 5년내 18조르 투자하여 수소부문 글로벌 1위를 목표로 한다. - SK E&S(현재 LNG를 직수입하는 국내 최대 민간 LNG사업자)가 그룹내 수소사업을 리드할 계획이며 SK인천석유화학단지 내 1만3000평 부지를 매입하여 수소액화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가 완공되면 SK인천석유화학으로부터 부생수소를 공급받아 이를 정제, 액체 형태로 가공한뒤 수도권에 공급할 ..

지난 기사 다시보기 / 영끌 하지 말고 신도시 청약하라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이 약 20개월 전인 2021년 6월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지금 돌아보면 상당히 적중률이 높은 내용이 많습니다. - 집값이 오를 수 있다고 무리하게 빚을 내 허겁지겁 집을 살 필요는 없다. 길게 보면 신규 분양 물량이 쏟아질 것이다. - 주택 구입은 10년 후까지도 생각해야하는 결정이다. 언제 집을 사느냐보다 어떤 곳의 집을 사느냐가 더 중요하다. - 부동산은 토지와 건물로 구성되는데 토지 가치가 중요하다. 대지지분이 넓을 수록 좋다. 땅 값이 오르면 결국 부동산 가격은 오른다. - 집을 살 때 시기선택에 실패해도 지역선택에 성공하면 결국 이긴다. 결론적으로 상승장에 허겁지겁 패닉 바잉하지 말라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는데, 현 시점에 돌아보니 그 말이 맞았네요. https://ww..

[2차 전지] 각형 배터리 점유율 상승세(2022년 기사)

- 배터리 폼펙터(형태)에서 중국 CATL과 삼성SDI가 주도하고 있는 각형 배터리 점유율이 상승세임 - 배터리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각형으로 제작된 LFP(리튬, 인산, 철)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고 NCM(니켈, 코발트, 망간) 배터리 수요가 하락 중(LG엔솔과 SK온은 NCM 배터리가 주력) * 벤츠와 테스슬라는 LFP배터리 사용(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저렴) * SK온은 삼원계 배터리를 추가 개발 중임. 삼원계 배터리는 LFP에 비해 가격은 높은지만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길다. LFP배터리에 주력하는 중국 CATL와 BYD는 LFP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보완하는 쪽으로 기술을 개발 중. (삼원계 배터리 : 리튬코발트산화물LCO를 기반으로 니켈과 다른 원소가 더해져 양극재에 총 세 가지 원..

[주식투자] 2022~2023년 관심 종목 리스트(2023.1.27 업데이트)

○ 맥쿼리인프라 삼성증권은 2023년 1월, 3개월 기준 투자 의견에서 주식을 상향 조정했다. 기존에 제시한 의견(상채하주 - 상반기 채권, 하반기 주식)에서 보름 만에 의견을 변경한 것이다. 삼성증권은 맥쿼리 인프라와 함꼐 카카오, 삼성전기, 현대미포조선 등을 유망 투자 종목으로 꼽았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 팔란티어 테크놀러지 현대중공업그룹은 미국 팔란티어와 빅데이터 합작사를 연내 설립하기로 2022년 9~10월 발표했다. 현대중공업은 팔란티어의 기업용 빅데이터 플랫폼 '파운드리'를 현대중공업그룹의 전 계열사에 도입할 방침이다. 1차 작성 2023년 1월 27일

[2차 전지] 2차 전지, 전기차 관련 뉴스 정리(23년 1분기)

https://v.daum.net/v/qWNNUgZdg6 "포드, SK온 대신 LG엔솔과 튀르키예 배터리공장 짓기로"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포드 자동차가 SK온 대신 LG에너지솔루션과 손잡고 튀르키예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포드와 LG에너지솔 v.daum.net - 포드는 기존 SK온과 논의하던 튀르키예 공장을 LG엔솔과 논의하기 시작함 - SK온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자금난에 따라 투자에 소극적으로 변한 것이 협력사 변경으로 이어졌다는 관측이 있음 - 포드는 튀르키예 대기업인 KOC(코치)까지 3사가 함께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 - 포드와 SK온은 현재 미국에 2개의 배터리 공장에 투자한 상태이며, 헝가리에 추가 투자를 검토 중임 -..

[전기차]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바이든 행정부 온실가스 감축안)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Inflation Reduction Act)」 -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를 감축하기 위해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에 4300억 달러(약 560조원)을 투입 - 2023년부터 북미에서 생산된 전기차를 구입할 때 대당 7500달러(약 977만원)의 보조금을 세액공제 형태로 지급받을 수 있음 - 보조금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미국 내 전기차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릴 목표 -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전기차가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함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핵심 자재는 미국 또는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에서 공급받아야 함 북미에서 제조되는 배터리 부품(양극재, 음국재, 전해액, 분리막) 비율이 50% 이상이어야 함 * 중국산 광물 및 부품에 의존하느 ㄴ기업의 ..

[메모] 인도네시아(인니)와의 교류 확대

◈ 인도네시아 국가정보 수도 : 자카르타 인구 : 2억 7천만명 종교 : 이슬람(87.2%), 기독교(6.9%) 등 교민 수 : 22,774명(대한민국 외교부, 2019) 기타 : - 2021년 3분기 누적 기준,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6위 투자국 - 전기차 산업은 인도네시아 중점 육성 산업 중 하나로 LG엔솔과 현대자동차의 합작 투자로 카라왕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 공장을 착공(2021) ◈인도네시아 관련 뉴스 1. LG에너지솔루션 인도네시아 투자 - 인도네시아는 니켈 매장량 및 채굴량 세계 1위 - LG엔솔은 인니에 11조원을 투자하여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할 계획(2022.04.18) 해당 사업에는 광물 확보 및 정제부터 배터리셀 생산까지 전 과정이 포함 - 이를 위해 LG컨소시엄과 인도네시아 ..

[수소] 현대자동차그룹 수소 사업 주요 뉴스

1. 현대자동차 2. 현대글로비스 : 친환경 사업브랜드 '에코(ECOH)' 출시 / 2021년10월 (1) 현대글로비스의 친환경 사업 - 그린수소 유통 : 전국 충전소에 수소 공급 - 그린수소 운반 : 초대형 가스운반선 2024년 건조예정 - 액화수소 생산 : 2024년부터 수소업체와 협력해 생사녜정 -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 현대차는 2020년 9월 해운그룹 윌. 윌헬름센과 가스 운반선 및 해운환경 변화 공동대응 업무협약을 체결함. https://varsika.tistory.com/199 [수소] 수소 경제 관련 종목 정리 - 현대차를 중심으로(2022.04 update) ○ 주요 그룹사 동향 (현대차와 SK가 수소 투자에 가장 적극적) - 현대차 : 현대제철(제철소 가스 → 부생수소), 현대글로비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