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공부/주식

[플라스틱] 일상 속으로 다가온 친환경 플라스틱

Varsika 2021. 5. 5. 17:30
728x90
반응형

 

아난티가 공개한 친환경 어메니티(좌측 상단이 생분해 용기를 활용한 생수)

○ 아난티

-. 4월 21일부터 생분해성 소재로 만든 ‘캐비네 드 쁘아쏭(Cabinet de Poissons)’ 생수를 펜트하우스 전 객실에 배치

-. 아난티는 2019년부터 플라스틱 용기가 없는 고체형 어메니티를 출시함. (국내 업계 최초)

-. 이번에 출시한 생수는 옥수수,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원료를 사용한 PLA로 만들어짐

-. 아난티의 취지 "플라스틱 없는 라이프스타일은 불편함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인이 추구해야할 삶의 방식"

 

○ 롯데케미칼

-. 폐원료로 A급 페트병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발표(자원선순한 설비 구축)

-. 롯데케미칼 울산공장에 설비투자(1천억원 수준)를 통해 화학적 재활용 PET를 연간 34만톤 생산하겠다는 계획

   * 화학적 재활용PET는 C-rPET으로 불리며 유색 페트병, 무색 페트병, 폴리에스터 의류도 재활용할 수 있음
     C-rPET는 Virgin PET에 비해 30~40% 정도 가격이 높음
   * 물리적 재활용(M-rPET)의 경우 무색 페트를 선별해 잘게 쪼개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기술난도가 낮아 널리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인력 투입이 상당해 경제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음. 

 

-. 2023년 착공 예정인 해중합 공장(1600평 규모)가 친환경 플라스틱의 전진기지가 될 전망이며 기존 울산1공장 또한 2030년까지 C-rPET 생산체계를 갖출 예정.

   *해중합 : depolymerization, 중합을 해체한다는 의미로, 중합체(폴리머)를 단위체(모노모)로 되돌리는 것

    즉, 기존 폐페트병을 해체하여 새 페트병을 만들 수 있는 기초 재료로 만는 것.

 

-. 롯데케미칼은 2018년 이사회를 통해 울산 공장에 PIA(고순도이소프탈산 - PET의 원료) 생산설비 증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관련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 

 

○ CJ제일제당

-. 제일제당은 기존의 식품, 소재사업과 더불어 화이트 바이오 산업을 본격화하고 있음

   * 바이오 사업부 내에 '화이트바이오CIC'라는 별도 조직을 신설함

-. 생분해 플라스틱 용기인 PHA(Polyhydroxyl Alkanoate) 용기 개발에 박차를 가해 내년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 PHA는 PLA에 비해 생산 비용이 높으나 생분해도가 높아 토양뿐만 아니라 해양에서도 자연분해되는 특징이 있음(미생물 대사회로에 의해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

-. 내구성 역시 PLA보다 높아 안정성이 관건 플라스틱 용기를 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유연한 필름이나 비닐도 만들 수 있음.

 

-. CJ제일제당의 PHA기술력은 이미 검증된 상태로 유럽과 북미에서 모두 생분해 인증을 취득함. 현재 인도네시아 파수루안에 소재한 바이오 공장에 PHA 전용 생산라인을 건설 중에 있으며, 해당 공장의 가동 전에 이미 1년치 생산 물량인 5천 톤 규모의 선주문을 수주. 

 

 

○ SK종합화학-코오롱인더스트리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BAT(Polybuthylene Adipate-co-Terephthalate) 출시 임박

  * 해당 플라스틱은 매립시 6개월 이내 자연분해가 가능

-. 21년 3분기내 출시 타겟(SK종합화학이 제품 원료를 코오롱인더스트리에 공급)

-. 생산목표는 2023년까지 연간 5만톤 이상(국내 최대 규모)

-. 플라스틱 중 농업용 비닐, 일회용 봉투, 어망 등은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으로 꼽히는데 해당 품목에 사용가능할 수 있어 주목을 받고 있음. 생분해가 가능한 다른 플라스틱인 PLA(Polylactic Acid)는 특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만 PBAT은 일반 토양에서도 자연분해가 가능함.

 

 

○ 한화솔루션

-. 한화그룹 ESG경여에 발맞춰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 시작 (매일경제 2021.01.12)

-. 우선 국내 대형 가전업체에 포장재 소재로 공급할 예정이며, 기존의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것이 목표

-. EPP(발포폴리프로필렌)이 주 소재이며, 해당 소재는 2025년까지 5년간 29.2% 성장할 것으로 전망(마켓앤드마켓)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