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동 23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8화 (사우디, 이란, 미국)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5월 8일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사우디와 이란의 헤게모니 싸움 사우디와 이란의 경쟁은 다른 중동 국가들이 분쟁과는 다른 측면이 있다. 예맨, 이라크, 시리아 등은 내전을 겪고 있고 이는 해당 국가의 국내 정치적 요인이 크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경우 영토분쟁이다. 그러나 사우디와 이란은 중동 지역에서의 헤게모니 경쟁 성격이 있다. 이 둘은 차이점도 많다. 이란은 페르시아 제국의 후예들이고, 사우디는 부족 단위 유목민들의 후예다. 제국을 경영해본 이들과 유목민들간의 통일을 거쳐 단일 국가를 건..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7화 (예루살렘, 트럼프 평화협정)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트럼프의 대사관 이전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은 자신의 수도를 예루살렘으로 선언했다. 다만 일종의 행정 수도처럼 몇몇 정부기관을 텔아비브에 두었다.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아랍 22개국은 예수살렘이 이스라엘의 공식 수도가 되도록 용납하지 않았다. 이들 아랍국가들과 수교한 제3국들은 모두 텔아비브에 주 이스라엘 대사관을 두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가 갑자기 주 이스라엘 미국 대사관 이전을 선포했다. 이는 이-팔 문제의 중재자 역할을 포기하고 이스라엘 편을 들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 트..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6화 (예루살렘의 역사)

○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6화: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 싸움이 끊이지 않는 평화의 도시 예루살렘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방송(본문 하단 링크)을 참고하였습니다. * 본문 전개는 방송을 따르되 일부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본문 내용 중 '▷' 표시는 방송 내용 외 포스팅을 하면서 추가한 내용입니다. - 예루살렘, 이스라엘, 그리고 팔레스타인 이-팔 분쟁은 하나의 땅을 두고 일어난 분쟁이다. - 이스라엘의 입장 : 신으로부터 내려받은 땅을 한 톨도 양보 없이 지켜야만 한다. - 팔레스타인의 입장 : 1948년 5월 14일, 나라와 함께 빼앗긴 땅을 언젠가는 수복해야만 한다. 70여 년 동안 두 입장이 평행선을 그리고 있었고, 극단으로 치닫는 갈등을 막기 위해 1993~19..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4화 (이스라엘과 유대인)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3월 20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해당 영상의 명칭이 최초 업로드 후 아래와 같이 수정되었습니다.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땅을 노리는 진짜 이유 → 러시아에 단호한 미국이 이스라엘에는 관대한 이유 → 우크라이나 침공에 분노하는 서방, 팔레스타인 침공에는 침묵하는 이유 * 포스팅 내용은 방송에 따르되, 일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를 재편집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지리 팔레스타인은 아직도 국가로 공인되진 않았다. 오스만 투르크 시절부터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살았던 것은 사실이다. 이스라엘은 경상도 정도의 면적을 갖고 있다. 중앙에 강낭콩을 쪼갠 것 같은 영역을 웨스트 뱅크(요르단 강 서안)이고 반대편 지중해에 가..

카테고리 없음 2022.03.23

[삼프로TV] 이란 핵협상,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들(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3월 21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해당 영상의 명칭이 3월 23일을 기점으로 [이란 핵협상,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들]에서 [미국 러시아 제재에서 이스라엘이 눈치보는 이유]로 변경되었습니다. * 포스팅 내용은 방송에 따르되, 일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를 재편집 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이란과 핵 문제 이란이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핵무기에 대해서 경망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도 않다. NPT(핵확산금지조약) 회원국이고 규범도 잘 지키고 있다. 국제법상은 문제가 없다. 다만 주변 국가들이 이란을 조금 과한 관점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2015년 핵 협상 이후에도 모든 약속사항을 잘 지켰다. 그러나..

[삼프로TV] 피비린내 나는 중동 석유의 역사 2부(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삼프로TV 1월 13일 방송을 참고하였습니다. * 포스팅 내용은 방송에 따르되, 일부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를 재편집 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에 추가한 내용은 별도 표시하였습니다.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이 일어난다. 1967년 일어난 제3차 중동전쟁의 보복전이었다. 당시 아랍 군댄 단 6일만에 이스라엘 군대에 참패했다. 나세르에 이어 이집트 대통령이 된 사다트는 철저하게 보복전을 준비한다. 사다트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공격하기 전 사우디로 날아가 지원을 요청한다. 사우디는 석유를 무기로 이집트를 돕기로 하고, 대신 전쟁을 되도록 오래 끌도록 이집트에 요청한다. (추가)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기습한 10월 6일은 '욤 키푸르'라고 불리는 유대교 속죄일이었다. 개전 당일 ..

[삼프로TV] 피비린내 나는 중동 석유의 역사 1부(서강대 박현도 교수)

* 본 포스팅은 2022년 1월 13일 삼프로TV 채널에서 방송된 백브리핑 라이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해당 방송은 2022년 1월 15일부터 1월 21일까지 이어지는 문재인 대통령 중동3개국 순방을 앞두고 방송되었습니다. * 포스팅은 방송 내용에 따르되 순서 및 분량은 일부 재구성하였습니다. * 방송 내용 외 추가한 부분은 별도로 표시하였습니다. Q. 이번 대통령 순방은 어떤 목적으로 가게 되었는가? A. 사실 더 많은 순방이 필요했으나 코로나로 충분히 이루어지 못한 측면이 있다. 초반에는 이낙연 총리가 주로 중동 순방을 다녀왔다. 정상외교라는 것은 최고의 외교무대다. 일반 외교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더 일찍 갔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순방이 이루어진 것이 ..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3부 (미국의 딜레마)

미국의 대중동 정책의 변화 중동의 정세를 좌지우지하는 나라는 역내 국가보다는 미국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최근 미국이 보여주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대응을 포함한 대외정책의 배경에는 과거 미국의 중동 개입에 대한 여파가 있다. 미국이 중동에 대해 갖고 있던 이권은 크게 3가지였다. 석유, 냉전 시기의 친미국가 확보, 이스라엘 안보가 그것이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미국이 중동에 공을 들인 이유가 이것이다. 그런데 셰일가스 혁명으로 미국 스스로 산유국이 되어버렸고, 냉전은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제는 이스라엘 안보만 지키면 되기 때문에 무리할 필요없이 중동에서 철군을 결정했다. 그 변곡점에는 9.11 테러가 있었다. 미국은 단 한 번도 현대에 들어와서 본토에 전쟁을 한 적이 없었다. 그동안은 어디서 누..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2부 (쿠르드의 역사)

전세계 지도를 보면 80~90%가 삐둘삐둘한 국경을 갖고 있다. 자연환경적 국경(형태학적 국경획정, physiographic border demarcation)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중동에서 볼 수 있는 직선 국경은 기하학적 국경(geometirc border)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기하학적 국경을 긋기 전에는 누구의 땅이었을까? 바로 오스만 투르크의 땅이었다. 즉, 중동 대부분의 땅이 지금의 터키의 땅이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패전한 오스만 투르크(터키)의 땅을 떼서 영국과 프랑스가 이러한 기하학적 국경을 그었다. 그리고 이런 기하학적 국경이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이것이 바로 현대 중동 형성의 3가지 사건 중 하나이면서 가장 중요한 사건인 사이크스-피코 합의이다. 이 합의를 바탕으로 영국은 중동의..

[삼프로TV] 인남식 교수의 중동학개론 1부(어디까지가 중동인가)

중동의 범위 - 어디까지가 중동인가 중동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정의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 중동이라는 말 자체가 어폐가 있다. 우리 입장에서 동쪽이 아니다. 정확히는 서남 아시아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 상대적인 개념인데도 이 표현을 백년 넘게 쓰고 있다는 것 자체가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행사해온 사람들의 시선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말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중동은 아주 좁게 보면 아라비아 반도와 레반트 지방(이라크, 요르단, 시리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 이집트를 포함하여 규정하기도 하고, 여기서 왼쪽으로 북아프리카 5개국과 북쪽 터키, 오른쪽 이란을 포함하여 중동을 정의하기도 한다. (인남식 교수의 관점은 2번째 범위) 더 광의로 정하다면 중앙아시아, 아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