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향과 일상/역사 62

[한국사와 한국문학] 동명왕편과 고려의 천하관

1. 동명왕편 - 고려시대 이규보가 26세(1193년)에 지음 - 를 참고함. 는 고려 초 편찬된 관찬사서이나 현전하지 않는다. 는 유교적 관점이 없어 동명왕 본기에서 신화와 설화적 내용을 모두 담았다. 동명왕편은 국내 정치적 요소를 떠나서 신라 계승의 역사의식에 반대하고 그에 대치하는 고구려 계승 역사의식의 표명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더 중요한 것은 이규보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주변 문화권과 교류하는 맥락 속에서 국제적 위상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하는 천하관과 연결된다. (c.f)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및 중국의 기록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유교적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 동명왕편 내용 - 중국의 신화적 인물들 -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의 등장 - 유화와의 결혼 - 동명(주몽)의 탄..

[한국사와 한국문학] 서동설화와 서동요

異類交婚 / 夜來者 1. 서동설화 매크는 서동이 서동요를 부름. 소문 떄문에 선화공주가 귀향감.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설화공주와 서동이 결혼을 함. 이들은 금을 엳어서 진평왕에게 보냄. 인심을 얻어서 백제의 왕이 됨. 미륵사를 창건 * 가난하지만 당시 빈민과는 다르게 신분적으로 예속되지는 않음. * 황금을 얻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경제적 부를 축적한 이로 추측되기도 함. * 서동요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얼어(정을 통해) 두고 맛동방을 밤에 몰래(알을) 안고 간다. 2. 서동은 백제왕 (1) 무왕(600~641) 가설 - 삼국유사의 기록. 무왕은 몰락한 왕족으로 왕위에 오름. 639년 미륵사를 창건 - 미륵사에서 금제사리봉안기 출토(2009), 새택적덕의 딸인 왕비 존재 확인. 서택왕비의 미륵사 건립 발원 → ..

[한국사와 한국문학] 찬기파랑가와 경덕왕대 사회변화

1. 기파랑을 찬미한 노래 (구름을) 열어 젖히니 나타난 달이 흰구름 좇아 떠나는 것이 아닌가? 새파란 냇물에 기파랑의 모습이 있어라. * 달은 임금을 상징, 흰구름은 기파랑을 상징함. * 달과 조약돌을 만나도록 해주는 매개체는 바로 흰구름(기파랑) 이로부터 시냇가 조약돌에 기파랑이 지니시던 마음 가를 좇으려 하네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모를 화랑의 우두머리시여 ( 권2, 기이 2,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 * 시냇가 조약돌은 백성을 뜻하고, 서리 모를 화랑의 우두 머리는 고깔을 말하며 고깔은 화랑 정신의 표상이다. - 기파랑 찬양을 통한 시대구원 기원 - 기파랑은 백성과 왕 모두의 지지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 기파랑이라는 인물형상을 통한 사회통합 추구 → 화랑정신의 복고를 통해 신라중..

[한국사와 한국문학] 화랑세기와 화랑

1. 화랑세기 - 김대문이 8세기에 저술한 역사서, 원본이 전해지지 않음 - 김대문은 본래 신라 진골 귀족의 자제로 성덕왕 3년인 704년, 한산주도독이 되었고 전기 약간 권을 지었으며 그의 , , , 가 아직 남아있다. ( 권 45, 열전 6, 설총). 현대에는 김대문의 저서가 모두 전해지지 않는다. * : 화랑의 전기를 모은 것. : 유명한 승려의 전기를 모은 것 : 한산주 지방의 지리지 ▷ 화랑도란 화랑도는 화랑과 그를 따르는 낭도로 구성된 집단을 뜻하며, 화랑은 국선, 화판, 선랑, 풍월주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진흥왕 37년인 서기 576년 화랑도에 대한 기록이 처음 발견되며, 처음에는 미녀를 중심으로 원화로 삼아 조직을 구성하였는데 준정과 남모 두 원화가 서로를 질투하여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한국사와 한국문학] 온달설화와 고구려 귀족사회

1. 온달 설화 - 삼국사기 열전에 전함 - 바보 온달이 평강 공주와 결혼하고 대형(大兄) 관등을 받음 - 평강왕(평원왕 559~590) 시기 온달이 무인으로 출세하고 활약함. 온달과 왕의 만남(수렵대회, 북주와의 전쟁) * 바보 온달과 공주의 결혼 가능성(실제 평민과 공주의 결혼이 가능했을까?) - 가난한 사람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첫 설화 - 경제적으로 몰락했지만 신분적으로는 예속된 상태가 아니다. - 황금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재산을 축적한 부유한 계측일 수 있다. (황금이라는 물질은 전통적인 부를 향유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임) 2. 온달의 신분 (1) 평민- 부민(경제성장과 사회분화를 통한 부민의 성장) - 홀어머니를 모시고 가난하게 살아감. 신분적으로 예속되어 있지 않음. * 농/상/수공업의 발달..

[한국사와 한국문학] 단군신화와 고조선

○ 고급신화와 저급신화 단군신화는 고급신화에 속한다. 고급신화란 그 시대 사회가 지향하는 바나 소망하는 바가 담겨져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사제 등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만들어 진다. 때로는 의식의 한계를 초월하기도 한다. 사실보다는 소망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고급신화의 반대는 저급신화인데 이는 민간에서 자연발생하여 내용이 비교적 소박하다. 1. 신화 속에서 - 100일 간의 고생(수난) 끝에 곰이 인간으로 변신하는 내용은 혼인과 단군 탕생을 정당화하는 장치다. - 단군의 할아버지: 지고신 - 단군의 아버지: 지상의 합법적인 통치자, 지고신의 아들 - 단군의 아머니: 지상을 대표하는 신성한 존재 즉, 환웅 + 웅녀는 신적인 존재지만 정당한 절차로 혼인하였고, 그 결과 단군이 탄생하였다. 단군이 고조선을 ..

[한국사와 한국문학] 의산문답과 새로운 사상

1.의산문답(醫山問答) / 의무려산은 바로 중원과 요동에 경계에 있는 산이다. • 허자가 의무려산(醫巫閭山)에서 은둔하고 있는 실옹을 만나 서로 토론한 이야기. 소설이라기엔 가상 인물끼리의 문답식 형식이다. • 허자는 전통적인 성리학자 실옹은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인 실학자(전통적 성리학자는 아님) • 성리학의 거짓 예의와 학문적 한계를 말함 - 그 사람을 겉모습만을 보고 군자라고 여긴다든지, 면전에서는 몸을 낮추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존경하기보다는 겉으로만 하는 꾸밈에 가깝고, 학문에 대한 자긍심을 이야기하지만 그마저도 관직 등 자기 이익을 위한 것에 가깝다. 즉 백성들을 위한 성리학이 아니라 자신의 안위를 생각한 성리학. * 내용 • 거짓된 예의와 학문 • 인간과 만물에 대한 의견 - (낙론) 사람과 ..

[한국사와 한국문학] 은애전과 정조

1.은애전(銀愛傳) 정조 14(1790) 전남 강진에서 김은애가 노파를 죽인 살인사건을 소설 형식으로 옮긴 글 신여척 살인 사건도 포함되어 있음 * 사건의 내용 • 김은애(18세)는 양가집 딸이었는데 안노파가 자신의 시누이 손자인 최정련과 맺어주고 부스럼 약값을 받기로 함 • 정련에게 은애와 사통했다고 말하게 하고 노파는 은애가 오히려 정련을 좋아하여 중매를 부탁하였다고 소문을 퍼뜨림 • 은애는 이 일로 한동안 혼인하지 못함. 소문을 믿지 않은 김양준과 결혼 • 결혼 후에도 노파는 은애를 무고 • 정련에게 약값을 못 받아서 병을 고치지 못했으니 은애는 원수임 • 은애는 2년여의 시달림에 지쳐 안노파와 최정련을 죽이기로 결심 - 안노파를 살해, 18차례나 찔러 살해함 * 은애전의 저자 – 이덕무(李德懋:1..

[한국사와 한국문학] 한중록과 사도세자

1.한중록 * 사도세자의 비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자서전적 회고록 정조 ~ 순조대 이야기를 4편에 걸쳐 나누어 썼으며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마지막 편에 담겨있음 * 4편으로 이루어졌음 • 1편 – 세자빈이 된 이야기 등 50여 년의 궁중생활(정조19;1795) • 2편 - 사도세자 사건 이후 정조 초년까지의 이야기(순조1;1801) • 3편 – 어린 순조에게 자신의 아버지와 숙부의 억울한 누명을 풀어달라고 호소(순조2;1802) • 4편 – 사도세자의 사건 내막을 밝힘(순조5;1805) * 순조에게 사도세자 사건으로 비난 받는 아버지 홍봉한의 결백을 밝히기 위해서 쓴 글로 당시 홍봉한은 사도세자를 죽이는데 앞장선 인물로 여겨지고 있었음. 영조가 사도세자를 죽이고자 뒤주를 가져오라 했을 때 홍봉한이 이..

[한국사와 한국문학] 흥부전과 조선 후기 사회

1. 흥부전 사나운 형 놀부와 순하고 착한 아우 흥부 이야기로 놀부가 부모의 유산을 독차지(조선 후기 사회상을 반영)하고 흥부를 내쫓아 흥부는 가난함. 흥부가 다리가 부러진 제비를 치료해주었더니 이듬해 박씨를 물고 왔고, 흥부가 박씨를 심자 박에서 금은보화가 나와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 놀부도 흥부를 따라 제비의 다리를 부러트리나 결국 망하고, 흥부의 도움을 받고 기사회생하여 잘못을 뉘우치며 형제가 화목하게 살게 됨. * 놀부는 장자라 부모님의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었다. (17세기 이후 조선 성리학 관습 강화) 장자는 재산과 함께 제사에 대한 책임도 함께 상속받는다. - 작자, 저술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 불교에서 전해져 오는 설화가 민간 설화로 각색되면 불교적 색채가 약화됨 - 조선 후기 사회의..

반응형